728x90



11일 국내 증시는 시장 전망치를 밑돈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 영향으로 급등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.
10일(현지시간) 미국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.35%(760.97포인트) 폭등한 1만1114.15에 거래를 마쳤다. 이날 나스닥의 급등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.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.70%(1201.43포인트) 뛴 3만3715.37에, S&P500 지수는 5.54%(207.80포인트) 상승한 3956.37에 각각 마감했다.
미국의 10월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인플레이션이 꺾이기 시작했다는 안도감에 주요 지수가 일제히 올랐다. 미국 노동부는 이날 10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.7% 올랐다고 밝혔다. 이는 지난 9월(8.2%)은 물론 시장 전망치(7.9%)보다 낮은 수치다. 지난 9월 4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던 근원 CPI도 전망치(6.5%)보다 낮은 6.3% 상승을 기록했다.
인플레이션이 꺾이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시장 지표가 나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.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4연속 자이언트 스텝(한 번에 0.75%포인트 금리인상)에 나섰던 Fed가 물가 정점을 확인한다면 12월에도 이 같은 인상 폭을 유지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.
엄청난 호재임은 분명하다.
어디까지 오를 것인지가 관건이다.

728x90
'주식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코스피 과매수 국면…보수적 접근 필요" (0) | 2022.11.21 |
---|---|
"인플레 정점통과" 낙관 속 美증시UP ...아마존 4%↑ (0) | 2022.11.12 |
오늘의 증시 - 언제까지 오를까? (0) | 2022.11.09 |
오늘의 증시 - 코스피, 장중 '2400' 회복…환율 1384원으로 '뚝' (0) | 2022.11.08 |
원자재 시황(11/7) - 천연가스 상한가 (0) | 2022.11.07 |